반응형
윤석열 정부의 청년 핵심 공약인 ‘청년도약계좌’가 오는 6월 출시될 예정이다.
이 상품을 통해 약 300만 명의 청년이 가입 5년간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을 전망이다.
청년도약계좌는 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만 19~34세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이며 월 70만원을 5년간 납입하면 만기 시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다. 월 납입금의 최대 6%를 정부가 보조한다.
▼ 청년도약 계좌란?
- 목적 :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 지원
- 대상 : 만 19세~ 34세 이하 청년
- 시기 : 2023년 6월 중 출시 예정
- 조건 : 개인소득 6천만 원 이하 가구, 총소득 중위 소득 대비 180% 이하
- 한도 : 월 70만원
- 가입 기간 : 최대 5년
반응형
▼ 청년도약 계좌 조건
- 개인 소득뿐만 아니라 가구 총소득도 함께 반영 (기존 희망 적금보다 신청자가 적을 예정)
- 가구원 범위 : 본인의 주민등록등본에 등재된 가족으로 신청자의 직계존비속, 형제, 자매에 해당
- 일하지 않는 무직자 신청 불가능
- 만 19세 ~ 34세 이하 청년대상이나 병역 이행기간을 연령 계산에서 미산입 하기 때문에 군대 다녀오신 분은 만 34세 이상이라 해도 병역기간 제외를 반영하여 계산 후 대상 확인
- 실행기간이 6월 중으로 발표되었지만 본인의 생년월일 끝자리에 따라 요일별로 5일 제 신청할 것으로 예상
2023년 기준 중위 소득 | ||
가구원수 | 중위소득 100% | 중위소득 180% |
1인 | 2,078,000 | 3,740,206 |
2인 | 3,456,000 | 6,221,079 |
3인 | 4,435,000 | 7,982,669 |
4인 | 5,401,000 | 9,721,735 |
5인 | 6,3310,000 | 11,395,238 |
6인 | 7,228,000 | 13,010,366 |
※ 소득은 개인뿐만 아니라 가구 전체의 기준도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위 표를 참고
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| ||||
연소득 | 고정 정부 기여금 | 본인 기여금 한도 | 저축 비례 정부기여금한도 | 합계 |
2,400만원 이하 | 20만원 | 30만원 | 20만원 | 70만원 |
2,400 ~ 3,600만원이하 | 50만원 | 20만원 | 70만원 | |
3,600~4,800만원이하 | 60만원 | 10만원 | 70만원 | |
4,800만원 초과 | 70만 | 70만원 |
※ 연소득에 따라 금액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보기
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| ||
가입기간 | 2023.6 ~ 2025.12.31 | 2021.2~ 2024 |
대상 | 만 19세~ 34세 (병역 이행기간은 연령계산 미산입) | |
소득기준 | 개인소득 6천만원 이하 가구소득(중위소득 180% 이하) |
총급여액 3,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,600만원 이하 |
납입기간 | 5년 | 2년 |
정부지원 | 납입금액의 3~6% | 1년차 2%, 2년차 4% (최대 36만원) |
금리 | 미정 | 은행별 5~6% |
※ 공통 사항 : 이자소득세 비과세
[E] 삼성 갤럭시북2 PRO i5 13형 NT930XED-KH58S
COUPANG
www.coupang.com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
청년 희망 적금 알아보기 : 중간 점검
▼ 청년들의 희망 ~ 중간점검 총정리해 볼까요? 이자를 최대한 많이 뽑아갈 수 있답니다!!! 1. 납입 횟수 파악하기 2월 적금 가입후 자동이체일을 매월 1일로 해놨다면 1월에 12회 차가 되어야 합니
red.lifetangle.co.kr
반응형
'국내경제 알뜰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 주택 청약 : 깔끔 정리 (0) | 2023.01.28 |
---|---|
사회 초년생 지원 정책 모음 : 목돈 만들기 (0) | 2023.01.18 |
청년 희망 적금 알아보기 : 중간 점검 (0) | 2023.01.13 |
청년 희망적금 가입방법 (0) | 2023.01.09 |
신혼부부 전세 대출 무이자 : 부산 (0) | 2023.01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