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서울시가 코로나 여파로 불안한 마음에 시민들의 승용차 이용이 늘어나자 대중교통 이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. 대중교통 이용률뿐만 아니라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도입으로 연 1만 3천여 대가량의 승용차 이용률 감소 및 연 3만 2천 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오늘은 이와 관련해 서울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▶ 기후 동행 카드란?

6만 5천 원으로 한 달 동안 서울에서 지하철, 시내버스, 마을버스, 서울 따릉이를 1시간 이용권을
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.
▶출시일
2024년 1월 ~ 5월 사이 시범 판매 후 7월부터 본격 도입할 예정입니다.
▶요금
매월 6만 5천원 충전하여 서울 권역 내 지하철, 시내·마을버스, 공공자전거 따릉이 등 모든 대중교통 무제한
이용 가능합니다.
단, 지하철
지하철 1~9호선, 경의·중앙선, 분당선, 경춘선, 우이신설선, 신림선까지 모두 이용가능
서울 승차 → 경기·인천 하차 가능
경기·인천 승차 → 서울 하차 불가능
버스
시내버스, 마을버스 모두 이용가능
경기·인천 등 타 지역까지 운행하는 광역버스는 서울 시내에서 승차하더라도 이용 불가능
공공자전거 따릉이
1시간 이용권 무제한 이용 가능
▶사용방법
실물 카드는 최초 발급 시에 3천 원 지불,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가능(시범 운영 기간에는 안드로이드만 지원)
▶ 신청 방법
역무소 등에서 실물카드 판매 예정, 또한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실물카드 구입이 가능하며 충전도 할 수 있습니다.
▶장점
기존의 서울 지하철 정기권(기본요금 1250원 기준 44회 이용가능)을 충전하여 사용 시에는 지하철로만 출·퇴근 하는
분들이 크게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었습니다. 반대로 지하철과 버스로 출·퇴근하시는 분들은 환승 시 지하철비, 버스비를 이중으로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었습니다.
반면에 기후동행카드는 지하철 정기권에 1만 원만 추가로 지불하면 서울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며, 이용 횟수에도 제한이 없어 교통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지금껏 출시되었던 교통카드와는 달리 할인·환급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시민들이 느끼는 할인 혜택을 클 것으로 기대합니다.
또한, 서울시에서 계산한 따르면 작년 한 해 교통카드 이용실적을 기준으로 했을 때 1인 당 연간 34만 원 이상 절감할 수
있다고하니 서울 거주하시는 분들은 기대가 클 것 같습니다.

▶단점
월 충전요금은 6만 5천 원으로 한 달 평균을 30일로 잡으면 약 2,166원이기 때문에 하루 대중교통 이용이 많지 않으시는 분들은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. 물론 주말에도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본인의 대중교통 이용 패턴에 따라 잘 계산해 보시고 비교해보셔야 하겠습니다.
매일유업 매일야채 고농축 당근의 힘 125ml, 24개
COUPANG
www.coupang.com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또한 광역버스, 신분당선에는 못 쓰기 때문에 서울 근교 출퇴근자에게는 이점이 없습니다. 신분당선은 광교역에서 판교를 거쳐 신사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월평균 약 94만 명의 승객이 이용 중인데 이 분들은 혜택이 없을 것 같습니다.

또한,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시 적립되는 마일리지를 고려하면 기후동행카드의 이점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. 다음 달 7일부터 기본요금이 1,250원에서 1,400원으로 150원 인상되고 내년 하반기에는 추가로 150원이 더 오를 예정이라
이용금액, 횟수에 따른 손익계산 필수이니 미리 점검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.

※ 위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글도 구독구독 부탁드립니다.
카드포인트 통합조회 및 현금화하기
요즘처럼 어려운 시기에는 한 푼이라도 아쉬울 때가 있습니다. 잠들어 있는 카드포인트를 찾아서 현금화해 볼까요? 여러 종류의 신용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카드사마다 포인트를 확인하기
red.lifetangle.co.kr
'도움되는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넷플릭스 요금제와 변경 방법 , 멤버십 종류별 특징 (0) | 2023.11.15 |
---|---|
불법 주정차 신고 방법과 과태료 조회 방법은? (0) | 2023.09.19 |
카드포인트 통합조회 및 현금화하기 (0) | 2023.09.16 |
고속도로 하이패스 영수증 출력 방법 (0) | 2023.08.15 |
교통 범칙금 조회 쉽고 간단하게 (0) | 2023.08.15 |